“몽골 사막화가 한국 기상이변 초래”
[경향신문 2005-06-16 18:21]
오늘(17일)은 유엔이 정한 사막화방지의 날. 사막화에 대해선 전 지구촌에서 관심을 쏟고 있다. 우리나라와도 관계가 있느냐고? 당연히 우리나라도 사막화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해마다 봄철이면 불어오는 불청객 황사가 바로 사막화의 산물이다. 그러니 우리나라도 해마다 사막화의 피해를 덮어쓰고 있는 셈이다.
“우리의 이웃나라인 중국의 경우 국토의 30%, 몽골은 국토의 50%가 사막화되거나 황무지로 바뀌었습니다. 동아시아의 경우 매년 서울의 4배가량의 땅이 사막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환경 NGO 시민정보미디어센터의 오기출 사무총장(44). 그는 특히 몽골의 식림(植林)사업으로 사막화를 막는 것이 황사를 줄이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1966년에서 73년 사이 가뭄으로 인해 사하라사막이 남쪽으로 확산되며 20만명 이상이 사망하고 가축이 떼죽음을 당했습니다. 이후 82년부터 85년 사이 또 수백만명이 사막화의 영향인 기근으로 굶어죽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80년대부터 유엔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에서 사막화문제를 제기해 왔습니다. 그것이 구체화되어 94년 6월17일 사막화방지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는데 이날을 기념해 사막화방지의 날이 제정된 겁니다.”
유엔의 사막화방지협약에는 2003년 현재 세계 187개국이 가입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99년 8월 156번째로 가입했다.
오사무총장은 “단순히 황사뿐 아니라 사막화에 대한 관심도 가져야 이 땅의 환경오염과 기상이변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막화현상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그것이 황사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까지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2000년도 들어와 40년 만의 가장 큰 폭설, 80년 만의 대홍수, 지난 3월 부산의 폭설 등이 바로 그 징후들입니다.”
계속해서 사막화의 환경파괴에 대해 강조한 그는 더욱 심각한 것은 사막화의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50~60년대에는 연평균 1,560㎢가 사막으로 바뀌었으나 80년대에는 2,100㎢, 2001년에는 서울 면적의 6배에 달하는 3,400㎢가 사막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중국·몽골 등 동아시아 사막화문제는 사회주의 붕괴와 시장경제 도입, 그리고 이에 따른 빈곤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내포돼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빈곤층에서는 마구잡이로 벌목을 해 땔감으로 팔고, 유목민들도 초지의 가축들이 뿌리까지 먹어버리도록 방치한 것이 사막화의 주된 원인이다. 오사무총장은 동아시아의 사막화문제는 환경, 평화, 빈곤 이 3가지 문제가 얽혀있는 것이 특징이라며 단순한 나무심기가 아니라 이 3가지를 동시에 해결해야 근본적인 환경치유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사막화 방지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NGO와 기업이 협력해서 사업을 추진하는 것. 시민정보미디어센터에서는 5년전부터 사막화방지사업을 해왔다. 99년 일본 요코하마서 한·중·일·대만·몽골 5개국 NGO들이 모여 동아시아 사막화에 대한 논의를 거친 끝에 나무를 심는 것만이 해결책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일본의 경우 후지쯔베트남이 99년부터 베트남 동나이성 논차크지구에 ‘후지쯔 베트남 우호의 숲’을 조성하고 있으며 도요타자동차는 중국 하북성풍녕만족자치주에서 2001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진행해 온 식림사업을 3년간 연장하며 관심을 쏟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몽골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고비사막에서 날아오는 황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이 작년부터 몽골식림사업에 참여해 시민정보미디어센터와 함께 해마다 두차례씩 매회 5,000그루의 나무를 심고 있다.
오사무총장은 궁극적으로는 정부와 기업, NGO가 공동으로 참여해 중국·몽골·북한을 잇는 그린벨트를 조성, 동아시아 평화의 숲을 이루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