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은 꽃을 자라게 할 뿐 소유하려 하지 않는다

봄이 오면 들은 많은 꽃을 피운다.

그 언덕에 크고 작은 많은 꽃들을 피게 한다.

냉이꽃, 꽃다지, 제비꽃, 할미꽃, 노랑민들레가 다투어 피어나는

모습을 말없이 바라본다. 그리고 그 꽃들이 생육하고 번성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다 내어준다.

계절이 바뀌고 새로운 꽃들이 다시 피고 지는 동안 들은 그 꽃들을

마음껏 자라게 할 뿐 소유하려 하지 않는다.

소유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많은 꽃들로 가득 차 있다.

강물은 흘러오는 만큼 흘려보낸다. 그래서 늘 새롭고 신선할 수 있다.

제 것으로 가두어두려는 욕심이 앞서면 물은 썩게 된다.

강물은 제 속에 많은 물고기들이 모여 살게 한다.

그러나 그렇게 살게 할 뿐 소유하지 않는다. 산도 마찬가지다.

그 그늘로 찾아와 둥지를 틀고 깃들어 살게 할 뿐 소유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산은 늘 풍요롭다.

산짐승들이 모여들고 온갖 나무들이 거기에 뿌리를 내리게 한다.

그것들이 모여와 있음으로 해서 비로소 산이 된다고 생각할 뿐이다.

새들이 마음껏 날개치게 하는 하늘은 더욱 그렇다.

수많은 철새들의 길이 되어주고 자유로운 삶터가 되어줄 뿐

단 한 마리도 제 것으로 묶어두지 않는다.

새들의 발자국 하나 훔치려 하지 않는다.

그래서 하늘은 더욱 넓고 푸르다.

생이불유(生而不有).

<노자>에서는 이런 모습을 "천지와 자연은 만물을 활동하게 하고도

그 노고를 사양하지 않으며, 만물을 생육하게 하고도 소유하지 않는다"하여

'생이불유'라 한다.

진흙을 이겨서 질그릇을 만들지만 그 안을 비워두기 때문에

그릇의 구실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릇의 안이 진흙으로 꽉 차 있다면

그 그릇은 아무것도 담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미 그릇이라고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진흙덩어리 이상의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사람이 그릇이 커야 한다'는 말이 있다.

'그 사람은 큰 그릇이 될 사람이다'라고 말할 때가 있다.

그것은 그만큼 도량이 크고 마음이 넓다는 뜻인데,

다른 사람을 품어 안고 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넓으려면 마음이

비어 있어야 한다.

집을 짓고 방을 만들 때 그 내부를 비워둠으로 해서 방으로 쓸 수

있는 것처럼 비워둠으로 해서 비로소 가득 차게 할 수 있는 이 진리,

이 무한한 크기....

사람의 마음도 삶도 비울 줄 알 때 진정으로 크게 채워지는 것을 만날 수 있다.